고전어/악카드어

악카드어의 음역에 관하여

alps 2012. 9. 24. 20:46

 

(2) 로고그래픽의 가치는 알파벳 형태와 비슷하게 나타낼 수 있다. 통상적으로(conventional) 악카드어 글에서 사용된 로고그램들은 수메르어는 대문자로(capital) 나타내었고 그리고 다시 색인에 의하여 동음들을 식별하였다.  LUGAL ‘왕’, LU ‘남자’, KU6 ‘생선’.

 

(3) 분명한 것은 그들의 수메리안 형태들의 사용은 윗첨자로 편리하게(conveniently) 나타내었다. AssurURU AN(바꿔 말하자면 DINGIR는 수메르어 ‘신’이라는 의미의 AN이라는 기호로 읽는다)으로 나타낸다. uruAssur, dAssur(d는 라틴어인 deus, '하나님‘에서 나온 생략형(abbreviation)이다.

 

(4) 음성의 보완(compliment) 대개 수메리안 형식(E-tum)에 보태졌거나 윗첨자로 적었거나 다음과 같은 아카드 단어 bitumtum, bitum(tum)의 뒤에  삽입 되었다(parentheses).

 

(5) 보여줄 목적을(purpose) 분명히 하기 위하여(depending) 쐐기모양의 기호들로 쓰인 아카드어의 글들은 서로 다른 방법 안에서 알파벳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i) 텍스트는 기호들을 하나하나씩 기록하여 나타내고 그리고 하이픈으로 분리하거나(그것들이 같은 단어에 속해 있다면) 아니면 간격으로(다른 단어들일 경우에) 또는 위치(한정적이지만 때때로 음성의 타입들은(compliment) 윗첨자로 적었다)로서 나타냈다. 그러므로 LUGALgisIG DU-us sar-ru-um da-al-tam i-pu-us(이것들은 아카드어 문장인 sarrum daltam ipus '왕이 문을 만들었다‘ 를 쓰기 위해 사용되어 진 여러 가능한 기호-연속들 가운데 두 가지이다). 연속 기호 (sign-by-sign)식 표현을 음역(transliteration)이라 불리는데; 이는 주어지지 않고 오히려 아카드어로 말해지는 정확한(precise) 언어의 형태는 우연히 주어질 뿐이다.

ii) 텍스트는 구술된 것으로 쓰인 현실화를 무시하고 재구성된 언어적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sarrum daltam ipus. 이러한 표현을 표준어(normalization)나 필사본(transcription )이라고 한다.

iii) 각개의 로고그램의 필사본에 추가하여 sign-by-sign 음역을 사용한 혼합된 표현도 종종 사용 되어진다. 예를 들어 sar-ru-rumgisdaltam(IG) ipus(DU-us)으로 사용 되어진다. 이러한 체계는 기호 쓰임에 완전한 표현과 언어 형태의 부분적인 표현을 알려준다.

 

d. 쓰기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은 각 기호의 다의어(polyvalent;Mehrdeutigkeit)일 것이다. 그것은 한 개의 알파벳이 쓰여진 영어에서 음성의 표현(realization)이 갖가지로 나타나듯이 다른 가치를 표현한다. 아카드어의 독자는 그가 AN을 로고그램 하늘로 혹은 또는 한 음성 기호가 /an/ 또는 /il/ 으로 소리 내듯이 읽어야 할지를 그에게 말하는 문맥에서의 표현에 의지해야 한다(rely). 보통 이런 것들은 접미어로서 표현한다.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그들은 한 개 이상의 읽는 방법을 허용한다. 그래서 그 텍스트의 모호한 채로(ambiguous) 내버려둔다(leave).

 

e. 아카드어의 읽기와 필사본에 대한 주의

 

(1) 기호의 음가는 일반적으로 ba, ab, bab 처럼 CV(자음+모음), VC, CVC형태이다: ba-ab이라고 쓰는 것은 장음을 의미하거나 두 모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음절은 /bab/이다.

 

(2) 모음e i를 포함한 대부분의 기호들은 분명치가 않다(indeterminate), 그래서 두 모음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이것은 주로(universally) 모음 e/i를 내포하는 CVC 기호의 특징이다($15를 보라). 읽기의 선택은 기록 자체와는 무관한(extrinsic) 근거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PI-tu-u ‘they are open’은 문법적인 근거는 pe-tu-u로 읽어야지 *pi-tu-u가 아니다.

 

(3)쐐기글자의 쓰기는 이전의 CV 기호에서 모음의 반복은 모음 길이를 의미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즉 모음의 길이는 구성형에서  끝 모음의 긴 악센트의 경우만 의미한다. pe-tu-ú =petú <*patihû 이다.

 

(4) 표준어에(normalization)서 모음 길이는 의미할 수도 있다. 모음 길이의 두개의 그래픽 표시도 보통 사용되어진다. 그 길이가 (i)어형(morphological) (다시 말하면 pãrisum의 분사형태의 ã) 또는 (ii) 자음 탈락의 결과(*hit’um >hitum ‘sin’ $84d) 그것은 장음기호(macron) “-“에 의하여 표시한다. 만약 그것이 (iii) 모음 구성의 결과라면 (rabium > rabum ‘freat’ $84e) 그것은 곡절 악센트가 있는(circumflex) “~”으로 표시한다.

음절 길이는 모음 길이와는 구별되어져야 한다. 한 음절은 그것이 한 자음과 짧은 모음으로 이루어졌다면 짧게 말해진다. (첫번째 음절 halaqum, 두번째 parisum); 그러나 그것이 한 장모음과 폐음절의 한 자음 포함하고 있다면 길게 말해진다.(risum 의 첫번째와 끝음절, dâkum 양음절 모두)

 

(5)쌍자음은 보통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고대 바빌론에서는 기록으로 나타낸다,. ‘he weighs out’ i-ša-qal 또는 i-ša-aq-qal 이라고 쓰여진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에 표준어는 išaqqal이다.

 

(6) 의 삽입은 (알레프 $82b를 보라) 기록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의 기록체계에 사라짐을 추정할수 있게(presumable) 말할 때는 그 탈락을 나타내준다. 그러나 고대 한 단어의 삽입 기록은 바빌론에서 i-il, a-ad 등 알레프의 역사적 현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나타내지만  길이는 아니다. illak (<*yi’allak), wr. i-il-la-ak; ul(*’ul), wr. ú-ul.

 

(7) 기호 a-a /a/ 또는 /a’a/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모음(V)이 있는 곳에서 /aj(j)V이다. 일반적으로 기호들은 특별한 특징과 함께 부차적 형태의 기호(반모음) /’/, /j/, /w/을 재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기호 WA, ‘A1A는 예를 들면 어떤 모음(WA=/wa/, /we/, /wi/,/wu/) 의 대치로 불규칙하게 쓰여지고. 부분적으로는 역순(reversible)(WA=/aw/. ‘A=/a’/ )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서로 자리바꿈(interchangeable)도 한다(Wa=/ja/, IA=/j’a/

 

(8) 단어의 액센트 다음 기준은 확실하게(reliably) 간접적인 입증(evidence)에서 일어난다(derived). 1. 두개 이상의 단어들은 첫 음절에 악센트가(ábum)가 있고 2. 셋 혹은 그 이상의 음절의 단어들에는 그것이 길다면(bikítum, abúllum,epístum, 위의 4와 비교) 어미에서 두번째에 (penultimate) 악센트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3. 어미에서 세번째 음절(antepenult)에 있다. 예외: 단어의 악센트는 축약(contraction)의 결과로 끝어미가 길어진 경우에는 탈락된다(rubûm). 그리고 약동사의 중간 음절 어근에서도 사라진다(ikun, ukin).

 

(9) 아카디언의 음역(transliterate)은 항상 이태릭체로 씌여졌다. 로마 대문자와 소문자는 logogram(기호, 약어)(Sumerogram) 표기하는데 사용되었고 읽기가 확실치 않거나 특기하지 않은 것을(unspecify) 알리는 것이다..

기호(sign) + 는 한 복합적인 것(complex)안에 두개의 단순한 부호의 합성(composition)을 표기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기호 U ‘’’’ IGI + DIB의 합성어이다.

기호의 배가(multiplication) x 은 또 다른 것 안에 한 기호를 새겨 넣은 것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KA x ME 그것이 안에 ME 와 함께 KA 가 쓰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Χ = 불분명한 (illegible) 기호거나 또는 안 알려진 읽기 중의 하나이다

[ ] 텍스트의 찢어진 일부(portion )를 넣은 것이다(enclose)

< > 고대 필사에 의해 실수로 빠뜨린(omitted) 어떤 판정을 넣은 것이다.

{ } 또는 << >> 고대 필사에 의해 실수로 추가한 것에 대한 어떤 판정을 넣은 것이다.

 

'고전어 > 악카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 변화 II (절대형과 구성형, 대명 접미어)  (0) 2012.10.30
악카드어 명사 변화 1  (0) 2012.10.08
악카드어 쓰기 체계  (0) 2012.09.17
3. 지리와 언어  (0) 2012.09.11
아카드 문법 번역(Richard Caplice)  (0) 201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