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지리와 언어
아카드어는 세계 역사의 위대한 문명언어들 가운데 하나다. 이는 약 2,500년의 기간 동안 고대 근동의 지배적인 문명 매개체였고 그 안에 풍부하게 기록되어 쓰여졌는데 (즉) 종교, 역사, 문학, 문법 - 이러한 것들이 쓰여졌으며, 현대 사회에서 자신들의 중심부와 이집트나 시리아-팔레스타인, 아나톨리아와 페르시아 이르기까지(as 처럼) 광범위하게 발견되어졌다. 이것이 사용된 문명 지리학적인 중심부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이다. 이 같은 고대 그리스 명칭이 원래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지역이라고 가리키고 있으나(refer)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현 이라크에 상당하는(corresponding) 대략적인(roughly) 지역을 표시하는 더 넓은 시각으로 사용되어진다. 주전 2000와 1천년(millennium)때 북쪽으로 아시리아와 남쪽으로 바벨로니아로 로 나뉘어졌다. 그 이전 3000년에는 남부 일부 지방에 도시국가인 수메르와 아카드로 이루어져 있었다(comprised). 이 지역에 관해서 보관한 (preserved) 가장 일찍 쓰여진 기록들은 다른 알려진 언어들과 기원(genetic) 관계를 입증(provable)할 수 없는 수메르 교착어(agglutinating)이나 아카드인(말하는 자들의)의 문화유산에 한 부분이 되었다. 아카드인의 언어(또는 아카드의 언어)는 고유명사(proper name)로 언급된 Fara[1] 시대(약 주전 2,800년)의 수메르어 글들로서 처음 입증되었다(attested). 우리는 주전 약2,500년으로부터 완전히 아카드어로 기록된 글을 발견한다.
b. 아카드어는 Semetic 언어 구성원의 하나로 이들 중에 가장 이르고 가장 압도적으로 증명된 고대어의 일원이다. Semetic 언어의 한 전통적 유형은 다음과 같이 지리학적인 위치를 기초하고 있다. 아카드어는 종족의 북동쪽의 일원이다. 그리고 가나안어(히브리어와 페니키아어, 그리고 몇몇 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우가리트어와 에블라어를 포함한 종속 그룹)과 아람어 방언이 속한 북서 셈족 줄기(branche)를 속한 반면 남쪽 지역은 아랍어와 고대 남쪽 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어를 형성하였다.
c. 파라 시대의 처음 입증된 아카드어는 A. D. 1세기 기독교 이전 시대로 소급한(down)다. 비록 기독교 이전시대의 마지막 세기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점점 더 아람어에 의해 말해지는 구어체로 그리고 전통적 학문적인 언어로 살아남았다. 그것의 사용은 긴 시대와 넓은 지역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변화를 경험했고, 이는 아카드어의 ‘방언’과 구별하는 것이 관례이다. 중심적인 방언은 - 메소포타미아의 중심부에 찾은 언어의 형태 - 이는 고대 아카드어(OAkk)의 시작으로 삼천년 대의 문서에서 증명된 것이며, 이천년과 천년에 걸쳐 남쪽(바벨로니아)과 북쪽(앗시리아) 사이 그리고 다른 시대(고대, 중세, 신-, 후기)로 바벨로니아와 앗시리아(OB, MB, NB, LB; OA, MA, NA) 내의 것에서 서로 달리 구별되는 방언들을 찾을 수가 있다. 이러한 중심적인 구어체 방언에 추가하여 우리들은 앗시리아와 바벨로니아 양쪽에서 쓴 인위적인(artificial) 문학 형태로 이는 OB 방언을 모범으로 한 언어로써, 이를 소위 스탠다드 바벨로니안(SB)이라고 불렸을 것이다. 우리는 이 방언의 역사와 대략적인 연대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려고 한다.
OAkk. 2500-1950
OB 1950-1530 OA 1950-1750
MB 1530-1000 MA 1500-1000
NB 1000-625 SB 1500-0 NA 1000-600
LB 625-0
이런 중심적 방언이 보태어서 2천 년에 여러가지 ‘주변(peripheral ) 방언’들이 입증되었는데, 이것들은 여러가지 아카등어로 쓰여졌고 그리고 서로 다른 지방 언어(수사, Boghazkoy[2]Alalah[3] Nuzi[4]Ugarit[5]와 아마르나(Amarna)[6] 문서들안에 다양한 장소 형태)에 의해 영향(influence)을 끼쳤다.
[1] (1) 도시국가; 기원전 4세기 후반까지, 수메르는 10여 개의 독립된 도시국가로 나뉘어져 있었다. 도시국가들은 대체로 수로와 경계석으로 둘러 쌓여 있고, 중앙에는 도시의 수호신이나 수호여신을 모시는 사원이 위치하였다. 도시는 엔시라고 불리는 성직자나 루갈이라고 불리는 왕이 통치하였다. 다음은 수메르의 주요 도시들 위치순서대로(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나열한 것이다. 괄호 안은 현재의 도시 이름이다.
마리 아가데 ; 키시 (Tell Uheimir & Ingharra) ; 보르시파 (Birs Nimrud) ; 니푸르 (Nuffar) 이신 (Ishan al-Bahriyat), 아다브 (Tell Bismaya), 슈루팍 (Fara) ,기르수 (Tello) 라가시 (Al-Hiba) 바드-티비라 (Al Medina) 우루크 (Warka) 라르사 (Tell as-Senkereh) 우르 (al Muqayyar)
(2) A. Deimel, 《파라의 비문(Die Inschriften von Fara, 3권, 1922∼24)》 *** 독일 아시리아학자. 1888년 예수회에 가입하였고, 1909년부터 로마의 교황청 성서연구 아시리아학 교수를 지냈다. 고대 수메르어의 문자·언어 연구와 사전편찬에 공적이 컸다. 주요저서로는 《파라의 비문(Die Inschriften von Fara, 3권, 1922∼24)》 《수메르어사전(4권, 1925∼50)》 《우라카기나시대의 수메르사찰 경영과 선구자》 등이 있다
[2] 보가즈쾨이: 터키 중북부의 마을; 고대의 Hittite 왕국의 수도 Hattusas의 유적이 있다.
'고전어 > 악카드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카드어의 음역에 관하여 (0) | 2012.09.24 |
---|---|
악카드어 쓰기 체계 (0) | 2012.09.17 |
아카드 문법 번역(Richard Caplice) (0) | 2012.09.05 |
함무라비 법전 (음역) (0) | 2012.06.08 |
맛보기 (0) | 2012.06.04 |